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카프카 성능
- kafka
- 슬랙 파일업로드 제한
- 스카우터
- Slack File Upload
- Scale Cube
- Scouter
- 카프카
- FCM
- Slack Limit
- firebase
- 웹보안
- 머신러닝
- Rate Limit
- n-gram
- Core/Context
- 슬랙
- Slack Rate Limit
- Tuckman
- 스케일 큐브
- 팀 발달 모델
- 해킹
- bag of words
- 코어/컨텍스트
- 파이어베이스
- 자연어처리 #konlpy #형태소분석
- Spark
- 이미지 푸시
- 슬랙 파일업로드
- 알림무시
- Today
- Total
플랫폼 개발팀 기술 블로그
Scouter Slack Plugin 알림 설정하기 본문
목표
스카우터 슬랙 플러그인을 커스터마이징하여 일부 요청에 대한 알림 여부를 다르게 하고, 요청 설정 목록을 서버 중단 없이 갱신하는 기능을 추가한다.
* 스카우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블로그 내 다른 포스트인 https://team-platform.tistory.com/14 에서 다룬다
우리는
개발되어 서비스 중인 자바 프로세스 들을 스카우터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 또한 프로세스들의 장애 알림 처리는 스카우터의 빌트인 플러그인인 슬랙(scouter-plugin-server-slack) 플러그인을 통해 수행하고있다. 이를 통해 스카우터 Xlog에서 에러로 감지된 요청이나 응답이 오래 걸린 요청들은 슬랙을 통해 알림을 받고 있다.
근데 그래서 왜?
우리가 운영하는 여러 서비스들의 다양한 요청들 중, 일부의 경우 에러 알림을 굳이 받지 않아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느린 응답을 가진 요청의 경우에도 슬랙 플러그인 설정 값인 ext_plugin_elapsed_time_threshold 값으로 글로벌하게만 관리되기 때문에, 자체 서비스 요청 응답이 해당 설정 값을 초과할 수밖에 없는 복잡한 로직을 가지거나 수 ms 이내로 빠르게 응답해야만 하는 서비스들의 경우 장애 여부를 판단하기가 곤란했다.
예시
Endpoint | 로직 수행 시간 | 글로벌 설정 지연 한계값 | 슬랙 장애 알림 여부 |
GET /users:bulk | 30,000 ms | 5,000 ms | O |
GET /users/{userID} | 10 ms | 5,000 ms | X |
위 예시에 따르면 첫번째 요청(/users:bulk)의 경우 기본 로직 수행 시간이 길어, 요청할 때마다 슬랙은 느린 응답 장애를 발송할 것이다. 또한 두 번째 요청(/users/{userID})의 경우 1초만 걸려도 장애로 판단되어야 할 경우 글로벌 설정 5초에 의해 느린 응답 알림을 받을 수 없다.
그래서 플러그인을 수정하여 요청별로 각각 지연, 또는 장애에 대한 알림이 발생되더라도 발송 자체를 무시하거나 다른 지연 설정값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개선이 필요했다.
* 슬랙 플러그인 적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github.com/scouter-contrib/scouter-plugin-server-alert-slack/ 에서 확인하자
수정한 부분
해당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SlackPlugin.java 파일의 @ServerPlugin(PluginConstants.PLUGIN_SERVER_XLOG) 어노테이션이 걸린 메서드를 수정해야 한다.
원본 SlackPlugin.java
@ServerPlugin(PluginConstants.PLUGIN_SERVER_XLOG)
public void xlog(XLogPack pack) {
String objType = AgentManager.getAgent(pack.objHash).objType;
if (groupConf.getBoolean("ext_plugin_slack_xlog_enabled", objType, true)) {
if (pack.error != 0) {
String date = DateUtil.yyyymmdd(pack.endTime);
String service = TextRD.getString(date, TextTypes.SERVICE, pack.service);
AlertPack ap = new AlertPack();
ap.level = AlertLevel.ERROR;
ap.objHash = pack.objHash;
ap.title = "xlog Error";
ap.message = service + " - " + TextRD.getString(date, TextTypes.ERROR, pack.error);
ap.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ap.objType = objType;
alert(ap);
}
try {
int elapsedThreshold = groupConf.getInt("ext_plugin_elapsed_time_threshold", objType, 0);
if (elapsedThreshold != 0 && pack.elapsed > elapsedThreshold) {
String serviceName = TextRD.getString(DateUtil.yyyymmdd(pack.endTime), TextTypes.SERVICE,
pack.service);
AlertPack ap = new AlertPack();
ap.level = AlertLevel.WARN;
ap.objHash = pack.objHash;
ap.title = "Elapsed time exceed a threshold.";
ap.message = "[" + AgentManager.getAgentName(pack.objHash) + "] " + pack.service + "(" + serviceName
+ ") " + "elapsed time(" + pack.elapsed + " ms) exceed a threshold.";
ap.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ap.objType = objType;
alert(ap);
}
} catch (Exception e) {
Logger.printStackTrace(e);
}
}
}
해당 메서드는 Xlog의 요청이 기록 됐을 때 진입되는 부분인데 이곳을 보면 에러에 대한 알림을 보내는 영역, 느린 응답에 대한 알림을 보내는 영역이 있는 걸 알 수 있다. 간단하게 슬랙 알림을 무시할 필요가 있는 응답을 추가해보자.
수정 SlackPlugin.java
@ServerPlugin(PluginConstants.PLUGIN_SERVER_XLOG)
public void xlog(XLogPack pack) {
String objType = AgentManager.getAgent(pack.objHash).objType;
if (groupConf.getBoolean("ext_plugin_slack_xlog_enabled", objType, true)) {
String serviceName = TextRD.getString(DateUtil.yyyymmdd(pack.endTime), TextTypes.SERVICE, pack.service);
String agentName = AgentManager.getAgentName(pack.objHash);
if (pack.error != 0) {
if ("localhost".equals(agentName)) {
// 특정 Agent는 에러 무시
} else if ("/test".equals(serviceName)) {
// /test 요청은 에러 무시
} else {
// 그 외에는 에러 발송
String date = DateUtil.yyyymmdd(pack.endTime);
String service = TextRD.getString(date, TextTypes.SERVICE, pack.service);
AlertPack ap = new AlertPack();
ap.level = AlertLevel.ERROR;
ap.objHash = pack.objHash;
ap.title = "xlog Error";
ap.message = service + " - " + TextRD.getString(date, TextTypes.ERROR, pack.error);
ap.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ap.objType = objType;
alert(ap);
}
}
try {
int elapsedThreshold = groupConf.getInt("ext_plugin_elapsed_time_threshold", objType, 0);
boolean slowError = true;
if (elapsedThreshold != 0 && pack.elapsed < 1000
&& "/users".equals(serviceName)) {
// 1초만 지나도 에러인 응답 체크
slowError = false;
} else if (elapsedThreshold != 0 && pack.elapsed > elapsedThreshold) {
if (pack.elapsed < 60000 && "/users:bulk".equals(serviceName)
&& "/gateway-service".equals(agentName)) {
// /users:bulk 요청은 60초가 넘어야 에러 발송
slowError = false;
}
... more
}
if( slowError ) {
AlertPack ap = new AlertPack();
ap.level = AlertLevel.WARN;
ap.objHash = pack.objHash;
ap.title = "Elapsed time exceed a threshold.";
ap.message = "[" + agentName + "] " + pack.service + "(" + serviceName + ") " + "elapsed time("
+ pack.elapsed + " ms) exceed a threshold.";
ap.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ap.objType = objType;
alert(ap);
}
} catch (Exception e) {
Logger.printStackTrace(e);
}
}
}
위 처럼 수정 할 경우 /test 요청은 에러가 발생해도 무시되고, /users 는 1초만 지연되더라도, /users:bulk는 60초가 넘어야만 느린 응답 알림이 발생될 것이다.
와 됐다!..
됐나..?
진짜 문제는..
Slack-Plugin은 빌트인 플러그인인 만큼 수정할 경우 스카우터 서버를 재기동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하드코딩으로 관리되는 장애 알림 무시 대상 목록의 경우 처음에는 몇 개 되지 않아 관리에 불편함이 없었지만, 지속적으로 개발됨에 따라 점점 개수가 늘어나고 수정 또한 빈번하게 발생되어 관리를 할 필요성이 생겨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변경을 고민해야 했다.
-
알림 무시 대상의 목록을 수정하면 서버를 재기동하지 않더라도 바로 적용이 되어야 한다
-
기존 하드코딩으로 구현되었던 조건문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간단한 로직이 허용되어야 한다.
-
알림 무시 대상 목록을 수정할 때 서버 소스의 변경은 최소화해야 한다.
바꾸자
데이터베이스로 알림 무시 대상 목록을 따로 관리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따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해야 하고 jdbc도 직접 구현하거나 다른 라이브러리를 첨부해야 하기에 조금 더 쉬운 방법으로 접근했다.
먼저 슬랙 플러그인 소스 중 SlackPlugin.java에서 스카우터 관련 설정 파일을 읽어 들이는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파일 기반으로 알림 무시 대상 목록을 관리하고자 했다. scouter 패키지에 속해있는 Configure.java 파일을 보면 3초마다 지정된 경로에 있는 설정 파일을 주기적으로 체크하면서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서버 메모리 Properties 객체에 패치하는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이와 같은 파일 갱신 프로세스를 알림 무시 대상 목록에도 적용하기로 했다.
SkipConditionalConfigure.java
package scouter.plugin.server.alert.slack.skipconfig;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io.FileInputStream;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Iterator;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util.Properties;
import scouter.util.FileUtil;
import scouter.util.StringUtil;
import scouter.util.ThreadUtil;
public class SkipConditionalConfigure extends Thread {
private static SkipConditionalConfigure instance = null;
public final static String CONDITIONAL_FILE_LOC = "./conditional/";
private List<SkipConditional> errorSkipConditional = new ArrayList<SkipConditional>();
private List<SkipConditional> slowSkipConditional = new ArrayList<SkipConditional>();
public List<SkipConditional> getErrorSkipConditional() {
return errorSkipConditional;
}
public List<SkipConditional> getSlowSkipConditional() {
return slowSkipConditional;
}
public final static synchronized SkipConditionalConfigure getInstance() {
if (instance == null) {
instance = new SkipConditionalConfigure();
instance.setDaemon(true);
instance.setName(ThreadUtil.getName(instance));
instance.start();
}
return instance;
}
private SkipConditionalConfigure() {
reload(false);
}
private boolean isModify = false;
public boolean isModified() {
return this.isModify;
}
private long last_load_time = -1;
public Properties property = new Properties();
private boolean running = true;
public void run() {
while (running) {
reload(false);
ThreadUtil.sleep(3000);
}
}
private File conditionalFile;
public File getConditionalFile() throws Exception {
if (conditionalFile != null) {
return conditionalFile;
}
String s = System.getProperty("scouter.conditional", CONDITIONAL_FILE_LOC + "conditional.conf");
conditionalFile = new File(s.trim());
return conditionalFile;
}
long last_check = 0;
public synchronized boolean reload(boolean force) {
long now = System.currentTimeMillis();
if (force == false && now < last_check + 3000) {
return false;
}
last_check = now;
File file = null;
try {
file = getConditionalFile();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return false;
}
isModify = !(file.lastModified() == last_load_time);
if (!isModify) {
return false;
} else {
System.out.println("File Modified");
}
last_load_time = file.lastModified();
Properties temp = new Properties();
if (file.canRead()) {
FileInputStream in = null;
try {
in = new FileInputStream(file);
temp.load(in);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finally {
FileUtil.close(in);
}
}
property = replaceSysProp(temp);
setErrorSkipConditionals();
setSlowSkipConditionals();
return true;
}
public Properties replaceSysProp(Properties temp) {
Properties p = new Properties();
Map<Object, Object> args = new HashMap<Object, Object>();
args.putAll(System.getenv());
args.putAll(System.getProperties());
p.putAll(args);
Iterator<Object> itr = temp.keySet().iterator();
while (itr.hasNext()) {
String key = (String) itr.next();
String value = (String) temp.get(key);
p.put(key, new scouter.util.ParamText(StringUtil.trim(value)).getText(args));
}
return p;
}
private void setErrorSkipConditionals() {
errorSkipConditional.clear();
int lineNo = 1;
while (true) {
try {
String originStr = getValue("error_alert_skip_conditional_" + lineNo);
if (originStr == null || "".equals(originStr)) {
break;
}
SkipConditional conditional = parseSkipConditional(originStr);
if (conditional == null) {
System.out.println("fail skip conditional parse.");
break;
}
errorSkipConditional.add(conditional);
lineNo++;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break;
}
}
}
private SkipConditional parseSkipConditional(String originStr) {
String[] p1 = originStr.split("\\::");
if (p1.length == 0) {
System.out.println("[p1] split length error");
return null;
}
SkipConditional conditional = new SkipConditional();
String p2;
if (p1.length > 1) {
conditional.setElapsedTime(Long.parseLong(p1[0]));
p2 = p1[1];
} else {
conditional.setElapsedTime(0L);
p2 = p1[0];
}
String[] p3 = { p2 };
if (p2.contains("&&")) {
p3 = p2.split("\\&\\&");
}
if (p3 == null || p3.length == 0) {
System.out.println("[p3] split length error");
return null;
}
String[] p4;
String value = null;
TargetType targetType = null;
CompareType compareType = null;
List<ValueConditional> valueConditionals = new ArrayList<ValueConditional>();
for (int i = 0; i < p3.length; i++) {
String vc = StringUtil.trim(p3[i]);
p4 = vc.split("\\,");
value = p4[0];
targetType = TargetType.valueOf(p4[1]);
compareType = CompareType.valueOf(p4[2]);
valueConditionals.add(new ValueConditional(value, targetType, compareType));
}
conditional.setValueConditionals(valueConditionals);
return conditional;
}
private void setSlowSkipConditionals() {
slowSkipConditional.clear();
int no = 1;
while (true) {
try {
String originStr = getValue("slow_alert_skip_conditional_" + no);
if (originStr == null || "".equals(originStr)) {
break;
}
SkipConditional conditional = parseSkipConditional(originStr);
if (conditional == null) {
System.out.println("fail skip conditional parse.");
break;
}
slowSkipConditional.add(conditional);
no++;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break;
}
}
}
public List<String> getValueList(String key) {
String str = StringUtil.trim(property.getProperty(key));
if (str == null) {
return Collections.emptyList();
} else {
return Arrays.asList(str.split("\\,"));
}
}
public String getValue(String key) {
return StringUtil.trim(property.getProperty(key));
}
public String getValue(String key, String def) {
return StringUtil.trim(property.getProperty(key, def));
}
}
구성은 Configure.class파일과 거의 유사하고, 파일을 갱신하는 핵심 부분의 로직만 옮겨왔다. 추가로 두 개의 알림을 관리하는 목록 클래스로서 errorSkipConditional, slowSkipConditional를 생성, 갱신하는 로직이 추가되어있다.
굳이 로직의 동작을 설명하자면 매 3초마다 지정된 경로(/conditional)의 지정된 파일(conditional.conf)을 읽어 들여, 해당 파일의 수정 시간과 저장된 수정 시간을 비교하여 변경됐을 경우 기존 목록 클래스를 초기화하고 다시 읽어 들인 파일로부터 파싱 과정을 거쳐 목록 클래스를 갱신하는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읽어 들이는 설정 파일의 경우 기존 하드코딩된 로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조건들을 포함해서 구성했다.
UrlPattern 방식을 사용하거나, 일치(equals) 체크 -> 포함(contains) 체크 순으로 검증하는 방식도 생각해 봤지만 기존 하드코딩되어있던 조건의 경우 일치하거나 포함하는 조건으로만 되어있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기존 코드와 맞게 일치, 포함 여부를 명세하는 조건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conditional/conditional.conf
# 에러 알림 무시 목록
# {value},{AGENT|SERVICE},{MATCH|CONTAINS} {&& (optionals)} {other conditional (optionals)}
error_alert_skip_conditional_1=/test,AGENT,MATCH
error_alert_skip_conditional_2=/actuator,AGENT,MATCH
error_alert_skip_conditional_3=/error,AGENT,MATCH
# 느린 응답 알림 무시 목록
# {skipElapsedTime}::{value},{AGENT|SERVICE},{MATCH|CONTAINS} {&&(optionals)} {other conditional (optionals)}
slow_alert_skip_conditional_1=100::/board/1,SERVICE,CONTAINS && /gateway-service,AGENT,MATCH
slow_alert_skip_conditional_2=10000::/users:all,SERVICE,MATCH
slow_alert_skip_conditional_3=30000::/users:bulk,SERVICE,MATCH
설정 파일의 경우 일반적인 오류와, 느린 응답에 대한 값들로 구성되어있다. 기본적으로 Xlog에 기록되는 객체 값에서 Service, Agent 텍스트 값을 비교하여 알림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해당 구성 파일로 가능한 것은 특정 지연 시간 설정 이내의, SERVICE 또는 AGENT의 값이 일치(MATCH)하거나, 값을 포함(CONTAINS)할 경우 알림을 무시한다. 고 이해하면 된다.
기존 Configure.class를 그대로 모방하다 보니, Properties의 구성 형태처럼 Key / Value 형태로 관리해야만 해서 설정 파일의 목록 구성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아쉬운 점이 있었다. 또한 PathVariable 형태의 값의 경우 Regex나 Pattern기반으로 검사해야 하는 불편함에 제외하고 값이 포함되는 것으로 체크하도록 하였다. 포함으로 체크할 경우 다른 문제가 있는데, 이는 검사 순서를 변경하거나 Pattern 기반으로 변경하긴 해야 한다.
설정된 파일이 주기적으로 SkipConditional라고 만들어놓은 객체의 리스트로 갱신되고, 기존 If, else로 처리했던 SlackPlugin.java 에서 다음과 같이 비교하도록 처리된다.
SkipConditional.java, ValueConditaional.java, Enum
public class SkipConditional {
private List<ValueConditional> valueConditionals;
private long elapsedTime;
public List<ValueConditional> getValueConditionals() {
return valueConditionals;
}
public void setValueConditionals(List<ValueConditional> valueConditionals) {
this.valueConditionals = valueConditionals;
}
public long getElapsedTime() {
return elapsedTime;
}
public void setElapsedTime(long elapsedTime) {
this.elapsedTime = elapsedTime;
}
}
public class ValueConditional {
private String value;
private TargetType targetType;
private CompareType compareType;
public ValueConditional(String value, TargetType targetType, CompareType compareType) {
this.value = value;
this.targetType = targetType;
this.compareType = compareType;
}
public String getValue() {
return value;
}
public void setValue(String value) {
this.value = value;
}
public TargetType getTargetType() {
return targetType;
}
public void setTargetType(TargetType targetType) {
this.targetType = targetType;
}
public CompareType getCompareType() {
return compareType;
}
public void setCompareType(CompareType compareType) {
this.compareType = compareType;
}
}
public enum TargetType {
SERVICE, AGENT
}
public enum CompareType {
MATCH, CONTAINS
}
한 개의 SkipConditional.java 는 conditaional.conf 파일의 한 row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있다.
SlackPlugin.java의 검사 로직 일부
// 최상단에Configure와 같은 방식으로 초기화 해준다.
final SkipConditionalConfigure skipConf = SkipConditionalConfigure.getInstance();
// 알림 무시 검사 로직
private boolean skipCheck(String agentName, String serviceName, int elapsed) {
for (SkipConditional con : skipConf.getSlowSkipConditional()) {
boolean condition = valueConditionalCheck(con, agentName, serviceName);
long conpareElapsed = con.getElapsedTime();
if (conpareElapsed > 0) {
condition = condition && elapsed < conpareElapsed;
}
if (condition)
return condition;
}
return false;
}
private boolean valueConditionalCheck(SkipConditional con, String agentName, String serviceName) {
Boolean isSkip = null;
for (ValueConditional vc : con.getValueConditionals()) {
String value = null;
String compareValue = vc.getValue();
switch (vc.getTargetType()) {
case AGENT:
value = agentName;
break;
case SERVICE:
value = serviceName;
break;
default:
return false;
}
switch (vc.getCompareType()) {
case MATCH:
if (isSkip == null) {
isSkip = value.equals(compareValue);
} else {
isSkip = isSkip && value.equals(compareValue);
}
break;
case CONTAINS:
if (isSkip == null) {
isSkip = value.contains(compareValue);
} else {
isSkip = isSkip && value.contains(compareValue);
}
break;
}
}
return isSkip;
}
알림 무시 조건을 분석해서 알림 무시 여부를 리턴해주는 간단한 로직이다.
설정 파일의 구성이나 비교 로직은 입맛에 맞게 상황에 맞게 변경해서 쓰면 좋을 것 같다.
끝
스카우터 플러그인 수정 작업을 처음 맡아 어려움이 예상됐지만 보면 바로 알 정도로 플러그인이 간편하게 구성되어 있어 수정에도 큰 어려움이 없었다. 현재는 파일 기반 설정 방식으로 조건이 포함되어 설정 파일 내용이 약간은 난해한 구성인데, 추후 SQLite 같은 small database 형태로 변경해서 다양한 조건들을 직관적으로 구성하여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Arti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lack File Upload API 발송 횟수 제한(Rate Limit) 해결하기 (5) | 2020.11.22 |
---|---|
Google AMP 개요 편 (0) | 2019.05.30 |
Docker : Docker Compose 편 (0) | 2019.04.05 |
자연어처리 - 데이터 정제 (0) | 2019.03.22 |
REST API 디자인 가이드 적용기 (1) | 2019.03.08 |